URL( Uniform Resource Locator )이란?
인터넷 상의 자원(웹 페이지, 이미지, 동영상 등)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이다.
기본적인 구조
프로토콜://도메인/경로 ? 쿼리 #프래그먼트
각 부분의 설명
- 프로토콜 (Protocol):
-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.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와 https (HTTP Secure)가 있습니다. 그 외에도 ftp (File Transfer Protocol), mailto (이메일 주소를 지정), file (로컬 파일 접근) 등이 있습니다.
- 도메인 (Domain):
- 자원이 위치한 서버의 주소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www.example.com이 도메인입니다. 도메인은 IP 주소로 변환되어 실제 서버에 접속하게 됩니다.
- 포트 (Port) (옵션):
-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를 식별하는 번호입니다. 보통 생략되며, 생략될 경우 기본 포트가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HTTP는 80번 포트, HTTPS는 443번 포트를 기본으로 사용합니다. 명시적인 포트 예: http://www.example.com:8080
- 경로 (Path):
- 서버 내의 자원이 위치한 경로를 나타냅니다. 웹 서버의 파일 시스템 구조와 유사합니다. 예를 들어, /folder/page.html은 서버의 특정 폴더에 있는 페이지를 가리킵니다.
- 쿼리 (Query) (옵션):
- 자원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. ?로 시작하며, key=value 쌍으로 이루어진 여러 파라미터를 &로 구분합니다. 예를 들어, ?id=123&sort=asc는 두 개의 쿼리 파라미터를 포함합니다.
- 프래그먼트 (Fragment) (옵션):
- 자원의 일부분을 지정합니다. #로 시작하며, 주로 웹 페이지 내의 특정 섹션으로 이동할 때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#section2는 웹 페이지의 두 번째 섹션으로 이동하게 합니다.
예시 URL
https://www.example.com:443/folder/page.html?id=123&sort=asc#section2
- 프로토콜: https
- 도메인: www.example.com
- 포트: 443
- 경로: /folder/page.html
- 쿼리: id=123, sort=asc
- 프래그먼트: section2
'웹개발 기초정리(프엔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 베이스란? (0) | 2024.07.08 |
---|---|
Fetch 정리. 2 (0) | 2024.07.05 |
Fetch 정리. 1 (1) | 2024.07.05 |
JQuery 기초정리. 2 (1) | 2024.07.05 |
JQuery기초 정리. 1 (0) | 2024.07.02 |